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1

Mode (교회선법) : Parallel Key 정리 앞서 선법을 한차례 다뤘을 때는 나란한조를 기준으로 으뜸음이 서로 다르지만 구성음은 똑같이 사용하는 관계에 있는 나란한 조(Relative Key) 관계를 통해 모드로 정리해 봤다. 오늘은 같은 으뜸음을 가지지만 구성음이 서로 다른 즉 서로 다른 모드인 같은 으뜸음 조(Parallel Key)를 기준으로 모드를 정리해 보도록 하자. 쉽게 온음과 반음을 이용해서 각 모드가 가지고 있는 구조에 맞춰 음을 나열하여 찾는 방법이다. 즉 C부터 시작하는 7개의 모드, F부터 시작하는 7개의 모드 등 각 음부터 시작하는 7개 모드를 온음과 반음을 활용하여 찾는 것이다. 모드를 찾을 때 가장 많이 활용하는 방법은 각 모드별로 반음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다. 구성음을 넘버링했을 때 몇 번과 몇 번이 반음인지 확인하고 .. 2023. 4. 20.
minor II-V-I 12 key 재즈가 대중화되면서 팝에서도 어렵지 않게 재즈 진행을 찾아볼 수 있다. 특히 minor II-V-I은 메이저 진행처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꼭 12 key로 익혀두길 권장한다. 아직 마이너 투파이브원의 구조를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했다면 아래 이미지를 클릭해 구조를 익힌 후 연습하도록 하자. 메이저 II-V-I과 마찬가지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2가지 폼이 있다. 마찬가지로 필수로 3음과 7음이 포함되어야 하고 Dominant 7 에서는 텐션이 2개 이상 포함된다. minor7(b5)는 코드톤만으로 소리가 독특하다. 때문에 코드톤만 가지고 보이싱하는것이 기본 폼이다. 2023. 4. 13.
minor II-V-I 구조, 텐션, 보이싱, A form, B form 메이저 II-V-I 만큼 많이 사용하지는 않지만 대중음악의 발전과 함께 코드진행 또한 다양해졌다. 특히 코드의 확장을 통해 새로운 시도를 많이 했는데 코드 확장을 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바로 마이너 II-V-I이다. 구조 minor II-V-I이기 때문에 마이너 스케일이 가지고 있는 투파이브 원을 활용한다. 가장 기본적인 Natural minor scale에서 나오는 II-V-I을 사용할 건데 그 구조를 살펴보면 IIm7(b5), Vm7, Im7이다. 여기서 문제는 이끔음의 부재로 인해 도미넌트 모션이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5도가 Dominant가 아닌 minor7이기 때문에 트라이톤이 없어 해결감이 없고, 이끔음이 없어서 다음 코드인 1도로 진행했을 때 곡이 끝나는 느낌이 없어 종지 역.. 2023. 3. 31.
Mode (교회선법) : Relative Key 정리 선법은 서양음악이 생겨난 뿌리인 Major scale과 minor scale이 생겨난 바탕이라고 할 수 있다. 옥타브 안에 음을 각 구조에 맞게 차례로 배열한 음계 즉 음과 음 사이 구조가 서로 어떻게 다른지 알려주는 것이다. 즉 같은 7음으로 이뤄진 음계라도 온음과 반음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선법이 되는 것이다. 한국 선법에는 평조, 계면조 등이 있듯이 각 나라에서 사용하는 선법은 서로 다르다. 특히 오늘 우리가 알아볼 선법은 교회선법으로 고대 그리스에서 사용하던 중세시대 교회음악 단선율이다. 교회선법은 7가지 종류가 있는데 서로 다른 것이 아니라 하나의 음렬 구조에서 파생된 것이다. 즉 온음과 반음의 배열과 구조는 바뀌지 않지만 시작하는 음이 바뀌어 그 순서가 바뀌는 것이다. C Major scal.. 2023. 3. 24.
Major II-V-I 12key 대중음악 또는 재즈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코드 진행 중 하나인 Major II-V-I은 음악을 이해하고, 만들고, 편곡할 때 가장 중요하다. 때문에 반드시 12 key로 코드 순서와 기본 보이싱을 정확하게 익혀야 한다. 투파이브원 구조를 잘 모른다면 아래 이미지를 클릭해서 반드시 먼저 이해하고 연습하길 바란다. 가장 기본적인 A form과 B form을 정리했다. m7과 M7에서는 9를 사용해 보이싱을 만들고 7에서는 9과 13을 사용하여 보이싱을 만든다. A form은 IIm7(3, 5, 7, 9)-V7(7, 9, 3, 13)-IM7(3, 5, 7, 9), B form은 IIm7(7, 9 ,3, 5)-V7(3, 16, 7, 9)-IM7(7, 9, 3, 5)이다. 2023. 3. 23.
Major II-V-I 구조, 텐션, 보이싱, A form, B form 투파이브원 진행은 재즈음악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코드 진행이다. 이 진행만을 가지고 만들어진 곡도 많이 있으며 현대에 이르러서도 가장 많이 활용하는 진행 중 하나이다. 구조 Major Diatonic을 구성하고 있는 7개의 코드 중 2도, 5도, 1도로 구성되어 있다. 메이저 다이아토닉에 의해 2도는 m7, 5도는 7, 1도는 M7이 된다. 즉 IIm7 - V7 - IM7이 되는 것이다. 이 구조는 으뜸음이 서로 달라진다 하더라도 변하지 않는다. 다이아토닉의 구조가 12 키 모두 같기 때문이다. 따라서 메이저 투파이브원은 IIm7 - V7 - IM7이다. 텐션 II m7 II m7은 SD 즉 IV M7을 대신해서 사용하는 대리코드이다. 클래식 음악에서는 IV - V - I 진행을 더 많이 사용한다. 하.. 2023. 3.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