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or Diatonic Chord
Natural minor, Harmonic minor, Melodic minor 세 가지 스케일 모두 각각 구성음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다이아토닉 코드의 구조도 조금씩 다르다. 각 스케일이 가진 특징이 다르고 느낌 또한 다르다. 때문에 각 스케일에서 나오는 다이아토닉이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여 알고 연주 또한 할 수 있어야 한다. Natural minor Diatonic Chord 자연단음계 구조를 분석해 보면 으뜸음부터 온음 반음 온음 온음 반음 온음 온음이다. A부터 규칙에 맞춰 나열해 보면 A, B, C, D, E, F, G가 된다. 스케일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음을 가지고 각 노트에 3도씩 3음을 쌓으면 다이아토닉 코드를 찾을 수 있다. 구조 A를 기준으로 A, B, C, D, E, F, G 음을 ..
2023. 3. 9.
Jazz minor scale (재즈마이너스케일) 구조, 12key
자연단음계에서 상행할 때는 이끔음을 만들어주기 위해, 임의로 만든 이끔음 때문에 생긴 증2도를 없애기 위해 화성단음계를 사용한다. 하지만 하행 할때는 이끔음이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다시 자연단음계를 사용한다. 이 단음계가 바로 가락단음계이다. 하지만 재즈에서는 상행과 하행을 서로 다르게 만들지 않고 똑같이 사용한다. 구조 화성적인 이유와 멜로디적인 이유로 상행과 하행이 서로 다른 Melodic minor scale과는 다르게 Jazz minor scale은 상행을 그대로 사용한다. 즉 하행 시 6음과 7음이 제자리 되지 않고 샤프된 상태 그대로를 사용한다는 뜻이다. C를 기준으로 상행하는 가락단음계를 계산해보면 C, D, Eb, F, G, A, B, C가 된다. 가락단음계였다면 하행 시 C, ..
2023. 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