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1

Diatonic Chord (다이아토닉) Diatonic은 스케일을 구성하고 있는 음으로만 이뤄진 멜로디 또는 화성을 말한다. 즉 Diatonic Chord는 스케일을 구성하고 있는 음들을 가지고 만들 수 있는 화음을 말한다. 각 스케일은 모두 구조가 같기 때문에 만들어지는 다이아토닉코드 또한 구조가 똑같다. Major Scale의 Diatonic chord 메이저 스케일의 구성음을 가지고 3도씩 쌓아 만든 화음을 말한다. 앞서 설명했듯이 모든 메이저 스케일의 구조가 같기 때문에 코드 성질 또한 모두 똑같다. C키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메이저 스케일을 구성하고 있는 음은 C, D, E, F, G, A, B이다. 이 음들을 사용하여 1도부터 3도씩 쌓아 올린다면 C, E, G, B가 쌓이면서 CM7이 된다. 2도부터 3도씩 쌓아보면 D, F, A,.. 2023. 2. 23.
Melodic minor scale(가락단음계) 구조, 12 키 연습 자연단음계에 없는 이끔음 만들어주고자 화성단음계가 생겼다. 7번째 음을 임의로 올려주면서 이끔음이 생겼지만 6음과 7음이 증 2도가 되면서 멜로디적으로 부드럽지 못하고 연주하기 까다로워졌다. 증 2도를 없애 수월한 연주를 하기 위해 6번째 음도 반음 올려주면서 만들어진 마이너스케일이 가락단음계이다. 구조 가락단음계는 화성적으로 만들어진 음계가 아니기 때문에 상행과 하행이 다르다. 상행할 때는 멜로디적인 이유로 만들어진 음계를 사용하고 하행할 때는 화성적인 이유로 만들어진 음계를 사용한다. 상행은 내추럴마이너와 비교했을 때 6음과 7음이 반음 올라간 구조이며, 하행은 내추럴마이너 구조와 같다. A키로 예를 들어보면 상행은 A B C D E F# G# A가 되며 하행은 A G F E D C B A가 되는 것.. 2023. 2. 11.
Harmonic minor scale (화성단음계) 구조, 12 key 자연단음계는 구조적으로 7음과 8음이 온음이기 때문에 이끔음이 없다. 때문에 도미넌트 모션이 불가능하며 곡이 끝날 때 해결감을 주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임의로 이끔음을 만들어준 마이너 스케일이 바로 하모닉 마이너 스케일이다. 구조 화성단음계는 기본적으로 자연단음계가 가지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화성적인 이유로 만들어진 스케일이다. 때문에 자연단음계의 단점인 이끔음이 없다는 것 이외에는 모두 같은 구조를 갖는다. 즉 자연단음계에서 7번째 음을 반음 올려주기만 하면 화성단음계가 된다. 정리해 보면 으뜸음부터 온음 반음 온음 온음 반음증 2도 반음이 되는 것이다. 규칙에 맞게 A harmonic minor scale을 찾아보면 A B C D E F G# A가 된다. 화성단.. 2023. 2. 10.
Natural minor scale (자연단음계) 구조, 12key 연습 메이저스케일과 마이너스케일은 조성음악을 구성하고 있는 가장 기둥이다. 마이너스케일에는 화성적인 이유로 세 가지 종류가 있는데 그중 메이저 스케일이 가지는 구성음과 같은 구성음을 가지는 마이너 스케일이 있다. 바로 자연단음계이다. 으뜸음이 같지는 않지만 메이저 스케일을 구성하는 음 중 6번째 음부터 다시 배열을 하면 자연단음계가 된다. 즉 C Major scale의 6번째 음인 A부터 다시 배열을 하면 A Natural minor scale이 되는 것이다. 구조 자연단음계는 으뜸음부터 온음 반음 온음 온음 온음 반음 온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A부터 구조에 맞게 음을 나열하면 A B C D E F G A 가 된다. 마찬가지로 C 자연단음계를 찾아보면 C D Eb F G Ab Bb C가 된다. 여기서 주의할 .. 2023. 2. 9.
Major scale(장음계) 구조, 12key 연습 조성음악에서 가장 근본이 되는 스케일은 구조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연주 또한 가능해야 한다. 그래야 곡을 구성하고 있는 멜로디와 화성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조 기준음 즉 으뜸음부터 시작해서 음을 차례로 위로 쌓아 올린다. 음과 음의 간격은 온음 또는 반음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순서가 스케일마다 다르니 꼭 익혀두도록 하자. 메이저 스케일의 구조는 으뜸음부터 온음 온음 반음 온음 온음 온음 반음으로 이루어져 있다. C부터 계산해 보면 C D E F G A B C가 되는 것이다. 같은 구조로 A부터 계산해 보면 A B C# D E F# G# A가 된다. 구조가 같으면 같은 스케일로 구분하며 스케일이 가지는 뉘앙스와 느낌이 같다. 메이저 스케일 12 키 모든 스케일은 같은 구조로 구성되어 있지.. 2023. 2. 8.
Tension (텐션) 재즈를 연주할 때 가장 핵심적으로 소리를 결정짓는 요소가 바로 텐션이다. 텐션 없이 코드톤만으로 연주하면 초보적이고 정직한 소리를 낼 수 있는 반면 긴장감이나 곡의 흐름을 살리기는 어렵다. 특히 악기를 다루는 재즈 아티스트라면 고유의 보이싱을 가지는데 보이싱을 세련되게 만드는 핵심적인 요소이기도 하다. 텐션이란? 1옥타브 안에서 차례로 음을 나열한 것을 스케일이라고 하는데, 화음은 1옥타브 안에서 해결된다. 1옥타브를 넘어 9, 10, 11, 12, 13, 14, 15로 넘어갔을 때 이 음들을 바로 익스텐션이라고 부른다. 더 쉽게 설명해 보면 1옥타브 내에서 3도씩 쌓아 7th chord를 만든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3도씩 계속 쌓아 코드를 확장시키면 그 음들이 Extension이 된다. C부터 3도씩.. 2023. 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