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음악이론, 화성학

Mode (교회선법) : Relative Key 정리

by Jooooa 2023. 3. 24.

선법은 서양음악이 생겨난 뿌리인 Major scale과 minor scale이 생겨난 바탕이라고 할 수 있다.

옥타브 안에 음을 각 구조에 맞게 차례로 배열한 음계 즉 음과 음 사이 구조가 서로 어떻게 다른지 알려주는 것이다.

즉 같은 7음으로 이뤄진 음계라도 온음과 반음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선법이 되는 것이다.

한국 선법에는 평조, 계면조 등이 있듯이 각 나라에서 사용하는 선법은 서로 다르다.

특히 오늘 우리가 알아볼 선법은 교회선법으로 고대 그리스에서 사용하던 중세시대 교회음악 단선율이다.

교회선법은 7가지 종류가 있는데 서로 다른 것이 아니라 하나의 음렬 구조에서 파생된 것이다.

즉 온음과 반음의 배열과 구조는 바뀌지 않지만 시작하는 음이 바뀌어 그 순서가 바뀌는 것이다.

C Major scale을 구성하는 7개 음으로 각 시작하는 음이 달라지면 7개 모드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jazz harmonic, jazz story, harmony, music, 재즈 화성학, 재즈 이론, 스케일, 모드, 교회모드, chruch mode, 교회 선법, 음계, 음악이론

Ionian (Major scale)

이오니안은 사실 메이저 스케일과 구조가 같다. 즉 C Major scale과 C Ionian은 서로 구성음도 구조도 같다.

C를 기준으로 Ionian의 구조는 1 음부터 온음, 온음, 반음, 온음, 온음, 온음, 반음으로 이뤄져 있다.

메이저 스케일과 마찬가지로 3음과 4음, 7음과 8음이 반음이고 나머지는 모두 온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ionian, 이오니안, 모드, Mode, 교회선법, church Mode, harmony, jazz harmony, 재즈화성학, 화성학, 음악이론

Dorian 

도리안은 메이저스케일을 구성하는 음 중 두 번째 음부터 시작하면 된다.

C를 기준으로 계산해 보면 D부터 음계가 시작하는 것이다.

따라서 구조는 근음부터 온음, 반음, 온음, 온음, 온음, 반음, 온음으로 바뀌게 된다.

반음의 위치가 2번과 3번, 6번과 7번으로 바뀐 것이다.

도리안, 모드, Mode, 교회선법, church Mode, harmony, jazz harmony, 재즈화성학, 화성학, 음악이론

Phrygian

프리지안은 메이저스케일 구성음 중 3번 음부터 재나열하면 된다.

C Major scale을 기준으로 3번째 음인 E부터 차례로 나열하면 그 구조가 프리지안이다.

정리해 보면 기준음부터 반음, 온음, 온음, 온음, 반음, 온음, 온음이 된다.

반음의 위치는 1번과 2번, 그리고 4번과 5번이 된다.

프리지안, 모드, Mode, 교회선법, church Mode, harmony, jazz harmony, 재즈화성학, 화성학, 음악이론

Lydian

리디안은 메이저스케일을 구성하는 음 중 4번째 음부터 재 배열을 하면 된다.

C 키를 기준으로 4번째 음인 F가 으뜸음이 되는 것이다.

F부터 나열하면 온음과 반음의 구조가 다시 한번 바뀌는데 정리하면

온음, 온음, 온음, 반음, 온음, 온음, 반음이다. 즉 반음의 위치가 4번과 5번, 7번과 8번으로 변한다. 

리디안, 모드, Mode, 교회선법, church Mode, harmony, jazz harmony, 재즈화성학, 화성학, 음악이론

Mixo-lydian

믹소리디안은 메이저 스케일 구성음 중 5번째 음부터 재배열을 하면 된다.

C키를 기준으로 5번째 음을 찾아보면 G가 되는데 G부터 재배열을 한 구조가 믹소리디안이 되는 것이다.

구조를 정리해 보면 온음 온음 반음 온음 온음 반음 온음이 되며 반음의 위치는 3번과 4번, 6번과 7번이 된다.

믹소리디안, 모드, Mode, 교회선법, church Mode, harmony, jazz harmony, 재즈화성학, 화성학, 음악이론

Aeolian (Natural minor scale)

에얼리안은 메이저 스케일의 6번째 음부터 나열은 한 것이다.

C를 기준으로 A부터 나열은 한 것인데,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자연단음계와 구조가 같다. 

구조는 온음, 반음, 온음, 온음, 반음, 온음, 온음이며 반음의 위치는 2번과 3번, 5번과 7번으로 바뀐다.

에얼리안, 모드, Mode, 교회선법, church Mode, harmony, jazz harmony, 재즈화성학, 화성학, 음악이론

Locrian

교회선법의 마지막으로 로크리안은 가장 어두운 소리를 가지고 있다.

근음과 2번째 음이 반음이고, 5번째 음과 감 5도이기 때문인데 메이저 스케일의 7번 음부터 나열을 하면 된다.

즉 C키를 기준으로 B부터 나열을 하면 되는데 그 구조를 정리해 보면 반음, 온음, 온음, 반음, 온음, 온음, 온음이다.

반음의 위치 또한 바뀌는데 1번과 2번, 4번과 5번이 반음이다.

로크리안, 모드, Mode, 교회선법, church Mode, harmony, jazz harmony, 재즈화성학, 화성학, 음악이론

 

 

 

반응형